meterlab blog
방사선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혁신: KRISS의 4πβ(PPC)-γ 표준 원기 개발과 미터랩의 나노박막 두께 측정 기술
미터랩의 박막 두께 측정 기술이 방사선 측정의 최상위 표준기인 표준 원기(primary standard) 제작에 활용되었다. 방사선 측정에서 두 개 이상의 검출기를 사용하는 코인시던스 카운팅(coincidence counting)에 기반한 측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코인시던스 카운팅은, 예를 들어, 어떠한 방사성 원소가 붕괴하면서 동시에 두 개의 입자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방출한다고 가정할 때, 각기 다른 위치에 놓인 두 개의 검출기가 동시에 입자를 검출하면 같은 붕괴에서 나온 입자라고 볼 수 있다. 방사선이 연속적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같은 사건’인지 구별하기 위해, 짧은 시간 간격 안에서 두 검출기가 동시에 반응했을때만 유의미한 이벤트로 카운트하게 된다. 4πβ(PPC)-γ를
2025년 상반기 미터랩 워크숍
지난 3월 28일, 미터랩은 부산 광안리 해변뷰가 보이는 카페에서 특별한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의 목적은 팀워크를 강화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는데 초첨을 맞추었습니다. 아름다운 바다를 배경으로 진행된 워크숍은 그 자체로도 영감을 주는 시간이었습니다. 워크숍을 통해 올해 남은 기간동안 회사의 방향성에 대해서 논의를 나누었으며, 업무에 필요한 아이디어 외에도 서로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하고 협력하는 방법을 배운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미터랩은 앞으로도 이러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자주 만들고, 이번 워크숍에서 얻은 배움을 실제 업무에 잘 적용해 나가겠습니다.
미터랩, 제8회 정밀측정워크숍 참가
2025년 3월 26일부터 28일까지 부산 부경대학교에서 정밀측정워크숍이 열렸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다양한 분야의 측정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최신 측정 기술과 산업 동향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미터랩은 이번 행사에서 총 3명의 박사님들이 초청을 받아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발표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앞으로도 ㈜미터랩은 활발한 연구와 발표를 통해 최신 기술을 공유하고, 다양한 분야와의 소통을 이어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정재 연구개발이사, 한국정밀공학회지(JKSPE) 신규 편집인 위촉”
2025년 1월 1일부터 박정재 연구개발이사(공학박사)는 SCOPUS등재지인 ‘한국정밀공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의 신규 편집인(Editor)으로 위촉되었습니다. 이는 박정재 이사의 전문성과 활발한 학술 활동이 인정받은 결과로, 정밀공학 및 정밀측정 분야에서 ㈜미터랩의 연구개발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번 위촉으로 박정재 이사는 기존 편집인인 진종한 이사와 함께 다양한 정밀공학 분야 전문가 20여명으로 구성된 편집위원단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주)미터랩의 더욱 활발한 연구개발 활동과 학술적 기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미터랩, 미국 LBTO와 공동연구 업무협약 체결
미터랩(Meter-Lab, Inc.)은 2025년 2월 26일, 미국 애리조나에 위치한 LBTO(Large Binocular Telescope Observatory)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습니다. LBTO는 우주 관측을 위해 세계 최초로 초대형 쌍안경식 망원경을 운영하는 천문대입니다. 이번 MOU를 통해 미터랩은 LBTO의 대형 광학 시스템 정렬 및 능동 광학 제어를 지원하기 위해 자사의 분광 간섭 기술을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환경 변화가 큰 천문대 환경에서도 실시간으로 분광 간섭계를 운용하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미터랩의 분광 간섭 기술이 LBTO는 물론 다양한 우주 미션에서도 실시간 정밀 정렬 및 위치 결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논문 게재] 광 빗 기반 분광 간섭계의 양자 한계 수준의 정밀도 구현
본 연구에서는 광 빗(optical comb) 기반 분광 간섭계(spectral-domain interferometer)를 활용한 거리 측정에서 표준 양자 한계(standard quantum limit)에 근접한 나노미터 이하(sub-nm) 정밀도를 달성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측정 정밀도는 평균 측정 시간 25 µs에서 0.67 nm, 측정 감도는 4.5×10−12 m/√Hz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제로 양자 한계에 가까운 수준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실제 물리적 현상의 정밀한 관측을 위해 응용될 수 있으며, 논문에서는 한 가지 예시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acoustic wave)에 의해 얇은 막에 발생된 미소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원격으로 음향 신호를 감지 및 복원할 수 있음을 시연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미터랩
미터랩은 측정 시스템 제조업체입니다.
두께 측정 센서 전문 기업이자 신뢰할 수 있는 개발자로서 전문 지식과 측정 센서 분야의 경험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합리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why we're the best
About Our Company
미터랩은 광학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소 기업입니다.
전문적인 광학 지식을 통해 실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있는 분광기, 두께측정기와 같은 광학제품을 다루고있습니다.

Reliable
Performance

Innovative
Partnerships

High
Precision
Products

Reasonable
Price

방사선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혁신: KRISS의 4πβ(PPC)-γ 표준 원기 개발과 미터랩의 나노박막 두께 측정 기술
미터랩의 박막 두께 측정 기술이 방사선 측정의 최상위 표준기인

[논문 게재] 광 빗 기반 분광 간섭계의 양자 한계 수준의 정밀도 구현
본 연구에서는 광 빗(optical comb) 기반 분광 간섭계(spectral-domain interferometer)를


방사선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혁신: KRISS의 4πβ(PPC)-γ 표준 원기 개발과 미터랩의 나노박막 두께 측정 기술
미터랩의 박막 두께 측정 기술이 방사선 측정의 최상위 표준기인





“박정재 연구개발이사, 한국정밀공학회지(JKSPE) 신규 편집인 위촉”
2025년 1월 1일부터 박정재 연구개발이사(공학박사)는 SCOPUS등재지인 ‘한국정밀공학회지(Journal of the


[논문 게재] 광 빗 기반 분광 간섭계의 양자 한계 수준의 정밀도 구현
본 연구에서는 광 빗(optical comb) 기반 분광 간섭계(spectral-domain interferometer)를


대전시 유성구 가정로 26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창업공작소 #201
TEL : 070-7122-2000 FAX : 070-7159-1353 E-MAIL : info@meter-lab.com
Copyright © 2022 METERLAB All rights reserved